김성경 교수 | 연구실 : D 438 TEL : 02-705-8366 University of Essex, Ph.D. (2006)
|
연구분야 및 실적 2014-2025 북한대학원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2021-2024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소장 2017-2024 SSK 남북한마음통합연구센터 부센터장 2021-2024 <현대북한연구> 편집주간 2018-2021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2016-2018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
Book 단독저서 2023 『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를 만든다: 분단의 나라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창비) 2020 『갈라진 마음들: 분단의 사회심리학』 (창비) 공저 2025 (forthcoming) ‘The Cultural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ns in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 The intersectionality of Gender, Class and the Division System Korean Popular Culture’, Korean Popular Culture (edited) (University of Hamburg) 2025 (forthcoming) ‘북한이탈주민은 말할 수 있는가?’ 김범수 외, 『광복 80년 국가민족 정체성의 분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24 ‘북한 ‘사이(in-between)’ 세대 이후의 청년들: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과 불확정성이라는 가능성‘, 『북한 청년세대의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과 문화통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2 金聖敬 ‘ 北朝鮮の映画と情動政治’, 崔銀嬉(ed) 『東アジアと朝鮮戦争七〇年―メディア・思想・日本 』(明石書店) 2021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6』 (사회평론)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사회평론) 『한 (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사회평론) 2019 『분단 너머 마음 만들기』 (사회평론) 2018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방법론』 (휴머니스트) 2018 『한(조선) 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3』 (사회평론) 2017 『분단된 마음의 지도』 (사회평론) 2016 『대북제재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 RPS) 2015 『북한 청년들은 ‘새 세대’인가?: 김정은 정권과 청년 세대의 다중적 정체성』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5 Worlding Multiculturalisms: the Politics of Inter-Asian Dwelling, (Routledge) 2013 『탈북의 경험과 영화표상』 (문화과학) 2007 ‘Film, Postmodernism and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Exploring the Power of Local Stories in Southern Korean and Northern England’ co-authored with Rob Stones, in Reconstructing Postmodernism: Critical Debates (NOVA publisher) Publications 2025 (forthcoming) ‘Gendered Cultural Imaginaries and Migration Dynamics: Interpreting North Korean Female Migrants’ Engagement with Hallyu’, Asian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SCOPUS) 2025 ‘대북전단과 오물풍선’, 『문화/과학』 2024 ‘Everyday Bribery in North Korea as Moral Economy’,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tudies, 57(2), co-authored with Song, Jiyoung, Yoon, Boyoung, and Adam Zulawnik (SSCI) 2024 ‘북조선 일본군 ‘위안부’ 재현의 정치: 젠더, 트랜스내셔널, 미래성의 징후들‘, 『담론 201』, 27(2) 2023 ‘쿼바디스, 피시즈: 페미니즘 평화 편: 정희진과 김성경의 대담’, 『평화들 PEACES』, 2(2) 2023 ‘한반도 평화 불/가능성과 멸망의 정동’, 『평화들 PEACES』, 2(2) 2023 ‘생애사가 밝혀낸 분단국 여성들의 경험세계: 이희영, 『경계를 횡단하는 여성들: 분단과 이주의 생애사 연구』 (푸른길, 2022)’, 『경제와 사회』, 137호. (Book Review) 2022 ‘북한이탈주민의 ‘스카이캐슬’ 생존기: 임대주택과 교육자본의 공간사회학’, 『통일인문학』, 90호 2022 ‘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 『한국여성학』, 38권 2호 2022 ‘남북 여성들의 경계 넘기: 이희영 『경계를 횡단하는 여성들』, 푸른길 2022’, 『창작과 비평』, 196호. (Book Review) 2020 ‘A Cultural Question for the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21, No. 3. (SSCI) 2020 ‘Mobile North Korean Women and Long-Distance Motherhood: The (Re)Construction of Intimacy and the Ambivalence of Family’, Korean Studies, 44호. (SCOPUS) 2020 ‘실천적 인류학자의 북한 읽기: 정병호 『고난과 웃음의 나라』 창비 2020’, 『창작과 비평』, 188호. (Book Review) 2019 ‘평양 도시 건설 스펙터클에 관한 소고: 열망과 체념의 정동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24호. 2019 ‘한(조선)반도에서 내셔널시네마의 정전(正傳)을 기억하는 방법: 나/라운규<아리랑>에 대한 남북한 해석의 분단’, 『문화와 사회』, 27권 2호. 2018 ‘북한 정치체제와 마음의 습속: 주체사상과 신소(伸訴) 제도의 작동을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21권 2호. 2018 ‘북한 출신자와 사회 만들기: 호혜성과 환대의 가능성’, 『문화와 정치』, 5권 1호. 2018 ‘분단체제에서 '사회'만들기’, 『창작과 비평』, 179호. 2017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56권. 2017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문화와 사회』, 23권. 2016 ‘Mobile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places in the Sino-North Korea Borderland’, Asian Anthropology, Vol. 15, No. 2. (SCOPUS) 2016 ‘공감의 윤리, 그 (불)가능성 - 필드에서의 연구자의 마음’, 『북한학연구』, 12권 1호. 2015 ‘북한 청년의 세대적 마음과 문화적 실천: 북한 사이(in-between) 세대의 혼종적 정체성’, 『통일연구』, 19권 2호. 2015 ‘2014 인천아시안게임 남북 여자축구 관람기 : 탈북 주민과 남한 출신 연구자의 교차하는 마음(들)’, 『문화와 사회』, 18호. 2015 ‘호모 나레티부스의 시대를 선언한다: 『베버와 바나나: 이야기가 있는 사회학』’, 『문화와 사회』, 19호. (Book Review) 2014 ‘I am well-cooked food: survival strategies of North Korean female border-crossers and possibilities for empowerment’,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15, No. 4. (SSCI) 2014 ‘분단체제가 만들어낸 이방인, 탈북자: 탈냉전과 대량탈북시대에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라는 위치의 가능성과 한계’, 『북한학연구』, 10권 1호. 2013 ‘Tracing Japanese filmmakers’ journeys to the global’,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14, No 2. (Book Review) (SSCI)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이탈여성의 ‘젠더화’ 된 장소감각’, 『한국사회학』, 47권 1호. 2012 ‘‘Defector’ ‘Refugee’ or ‘Migrant’?: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s changing Social Discourse’, North Korean Review, Vol. 8, No. 2. (2012). (SSCI)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공간의 확장’, 『공간과 사회』, 40호. 2011 ‘북한이탈주민 일상연구와 이주연구 패러다임 신고찰’, 『아태연구』, 18호. 2011 ‘한국영화산업의 신자유주의 체제화’,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9호. 2007 ‘Recovering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in Realistic Local Film: The Value of a Local Film in the Age of Postmodernism’, Development and Society, Vol. 36, No 1. |